어제 뉴스113 4월 9일, 어제의 경제 뉴스 TOP3 바쁜 일과 중에 경제 뉴스 체크할 시간이 없으셨나요? 어제의 뉴스들 중에서 놓치면 아쉬울 소식 3가지를 골랐습니다. 대형 아파트는 불황 무풍지대 지속되는 부동산 불황기 속에서도 대형 아파트가 단기간에 수억원 반등하는 사례가 나타나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일주일 만에 3억원 넘게 오른 경우가 있는가 하면 3년 만에 최고가를 경신한 대형 아파트도 나타났습니다. 초대형 아파트에 속하는 경기 용인시 기흥구 '공세호수마을성원상떼레이크뷰' 전용 215㎡는 지난달 7일에는 6억9500만원에 팔렸지만 일주일 뒤인 14일에는 8억1000만원에 팔렸습니다. 집값 급락을 면치 못했던 인천에서도 이 같은 대형·초대형 아파트 반등 사례가 잇따랐습니다. 인천 서구 청라동 ‘청라자이’ 전용 142㎡는 직전 거래가보다 1억.. 2023. 4. 10. 4월 6일, 어제의 경제 뉴스 TOP3 바쁜 일과 중에 경제 뉴스 체크할 시간이 없으셨나요? 어제의 뉴스들 중에서 놓치면 아쉬울 소식 3가지를 골랐습니다. LH ‘매입임대’ 역대급 인기 올해 첫 서울지역 청년 매입임대 모집에 사상 최대인 3만9000여명이 신청을 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고금리 기조 속 여전히 높은 월세 가격과 전세사기 우려에 따른 민간 임차 기피현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여기에 전세사기에 대한 두려움에 민간 주택 임차를 기피하는 심리도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지난해 10월께 ‘빌라왕’ 전세사기 피해 사태가 불거진 이후 공공임대주택의 경쟁률은 치솟고 있습니다. LH 등이 운영하는 공공임대는 보증금을 떼일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이번 모집에서 가장 많은 인원이 몰린 주택은 광진구 자.. 2023. 4. 7. 4월 5일, 어제의 경제 뉴스 TOP3 바쁜 일과 중에 경제 뉴스 체크할 시간이 없으셨나요? 어제의 뉴스들 중에서 놓치면 아쉬울 소식 3가지를 골랐습니다. 아파트 분양 시장, 서울쏠림 현상 두드러져 5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전날 진행된 서울 동대문구 휘경동 ‘휘센자이 디센시아’(휘경3구역 재개발) 1순위 청약에 1만7013명이 몰려 평균 51.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해당 아파트는 앞서 진행된 371가구 특별공급에도 5577명이 신청하면서 15.0대1의 평균경쟁률을 기록하면서 서울지역 분양시장은 잇따른 ‘완판’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부동산 중개플랫폼 ‘직방’이 조사한 3월 지역·단지별 청약결과를 살펴보면 이 같은 ‘완판 행진’은 서울의 극히 일부 단지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일 뿐 여전히 대부분 지역은 저조한 청약 성적.. 2023. 4. 6. 4월 4일, 어제의 경제 뉴스 TOP3 바쁜 일과 중에 경제 뉴스 체크할 시간이 없으셨나요? 어제의 뉴스들 중에서 놓치면 아쉬울 소식 3가지를 골랐습니다. 휘경자이 1순위 청약 마감 흥행 성공 GS건설이 4일 분양에 들어간 서울 동대문 휘경동 휘경3구역을 재개발해 공급하는 '휘경자이 디센시아' 1순위 청약에 1만7000여명이 몰리면서 두 자릿수 경쟁률로 마감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이날 휘경자이 디센시아 1순위 청약을 진행한 결과 329가구 모집에 1만7013명이 접수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평균 경쟁률은 51.7대 1로 두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하며 청약 마감에 성공했습니다. 휘경자이 디센시아는 최근 정부가 부동산 관련 규제를 완화한 뒤에 분양한 단지로,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거주 중인 만 19세 이상이면 주택을 보유.. 2023. 4. 5. 4월 3일, 어제의 경제 뉴스 TOP3 바쁜 일과 중에 경제 뉴스 체크할 시간이 없으셨나요? 어제의 뉴스들 중에서 놓치면 아쉬울 소식 3가지를 골랐습니다. 중위소득자 대출받아도 살 수 있는 서울 아파트 '100채 중 3채뿐' 3일 한국주택금융공사(HF)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주택구입물량지수는 47.0으로 집계돼 전년(44.6) 대비 2.4포인트(p) 올랐지만 50을 하회했습니다. 주택구입물량지수는 주택구입능력을 측정하는 지수로, 중위소득 가구가 구입 가능한 주택 수의 비율을 0∼100 기준으로 보여줍니다. 수치가 높을수록 중위소득 가구가 구입 가능한 주택물량이 많다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수치가 낮을수록 구입 가능한 주택물량이 적은 것이고, 수치가 100이면 중위소득 가구가 100% 주택을 구입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해당 지수는 한국은.. 2023. 4. 4. 4월 2일, 어제의 경제 뉴스 TOP3 바쁜 일과 중에 경제 뉴스 체크할 시간이 없으셨나요? 어제의 뉴스들 중에서 놓치면 아쉬울 소식 3가지를 골랐습니다. 서울 전세가율 11년 만에 최저 2일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 3월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인 전세가율은 50.9%로 2011년 12월의 50.8% 이후 11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11월부터 하락하기 시작하여 4개월째 하락추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매매가에 비해서 전세가의 하락 폭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대출 금리 인상으로 전세 수요가 월세로 옮겨가면서 집값보다 전셋값이 더 떨어졌습니다. 지방도 예외가 아니어서 인천, 경기 등 입주 물량이 쏟아지는 지역의 전세가율 하락세도 매우 가파르고, 갭투자가 성행했던 지역을 중심으로 하락세는 .. 2023. 4. 3. 이전 1 2 3 4 ··· 19 다음